시간이 좀 남아서 취업하면서 궁금했던 거나 제 경험을 좀 정리해서 적어볼까 합니다.
궁금한 사항 댓글로 남겨주시면 하나씩 추가할게요!
체험형 인턴 꼭 해야 할까?
일단 답은 사람 바이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. 하지만 하는 걸 추천함! ( 월급 따박따박 줘서 돈 걱정 없이 취준 가능 )
저는 예전에 체험형 인턴이 꼭 필요해? 자소서 시즌이나 필기 시즌이랑 겹쳐서 못 할 것 같은데,, 라는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. 물론 체험형 인턴 없이도 서류, 필기, 최종 면접까지 충분히 갔다. 하지만 말할 거리가 부족하다고 항상 생각했었다. 그렇기에 어지간하면 체험형 인턴을 할 수 있으면 해서 최대한 다양한 경험을 쌓으라고 추천한다.
물론 난 체험형 인턴 말고도 이미 많은 수상 경력과 전공 관련 경험이 있어서 필기 시험에 더 올인하고 싶다. 하면 안 해도 되긴 한다. 근데 공대에서 직무 관련 경험을 쌓기가 많이 어려울 것 같고 실제로 그렇고 쓸 말이 없다면 또는 딱 경험이 자소서를 겨우 채울 정도면 한 번 하는 것도 괜찮다. 확실히 회사에서는 인턴이라도 해 본 사람을 조금 더 선호하는 것 같다 (개인적인 의견)
그럼 어떻게 체험형 인턴을 해야 할까?, 자소서 내용 추천
일단 체험형 인턴을 하면 아무 것도 안 시킨다. 거의 대부분. 진짜 돈 주는 도서관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 그럼에도 하라고 하는 것은 이것 또한 자소서에 쓰기 좋으니까. 예를 들어 나이 많은 상사를 설득한 경험이나 갈등 상황에 부딪혔는데 해결한 경험, 뭐 도전적인 경험 등등으로 풀기 좋다.
저는 ~~~ 체험형 인턴 경험이 있습니다. 체험형 인턴으로 첫 출근 했을 때 가장 먼저 들은 말이 내일부터 공부할 거를 챙겨오라는 말이었습니다. 뭐 어쩌고 저쩌고 경험을 하고 싶었기에 일을 달라고 했지만 ~~~이유로 주지 않았습니다. 그래서 저는 ~~~이렇게 하였고 ~~~한 노력으로 상사나 멘토님을 설득하였습니다. or ~~~한 노력 후 말을 해보았지만 오히려 기분 나빠 하셨다. 그래서 ~~~ 이런 식으로 방법을 바꿔서 하니 인정을 해주고 이와 비슷한 ~~~업무를 주셨습니다. 이 경험으로 어쩌고 저쩌고 or 이렇게 대충 내 공부를 할 수도 있었지만 도전한 결과 ~~일을 해볼 수 있었다.
대충 이런식으로? 대학교때 조별 과제 한 것보다는 훨씬 쓸 게 많아지니까 좋다. 그리고 실제로 진짜 일을 안 시키는데 꾸준히 일 달라고 일 하고 싶다고 어필하면 뭐라도 던져준다 (경험담). 일이 아니면 최소 논문이라도 보라고 주는데 이것도 최고이고 체험형 인턴 당시 해당 회사 면접관님이랑 만날 일이 있었는데 체험형 인턴하면서 회사 규약(?) 처럼 회사 내부에서만 볼 수 있는 기본 항목이나 자료가 있는데 이것만 읽고 자소서에 써도 무조건 그 사람이 더 눈길 가고 뽑힐 확률이 높다고 하셨다.
이건 체험형 인턴 했을 때 임시 사원증 인증,,
무튼 지금 생각하니 왜 일찍 안 했지? 하면서 조금 아쉬운 마음으로 적어봤습니다.
'취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레일 전기통신 상황면접 후기 (상황면접 질문 / 자세한 분위기 등) (5) | 2022.11.22 |
---|---|
코레일 전기통신 최종 면접 후기 + 기출 문제 일부 + 면접 스터디 팁 (70) | 2022.04.26 |
한전 면접 3번 이상 간 사람이 느낀 한전 직무 + 임원 면접 질문(모니터 문제) / 면접 난이도 등등 (5) | 2022.03.24 |
필기만 5번은 합격한 사람의 한전 필기 시험 대비 후기 + 전공 문제 모음 + 공부 팁 (3) | 2022.03.19 |
2. 공기업 체험형 인턴 할 때 어떤 일을 해야 할까? (0) | 2022.03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