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료

한전 직무 면접 대비 질문 + 기출 문제 공유 (2016~2020)

by 밍굴뒹굴 2025. 8. 2.
반응형

안녕하세요 밍굴뒹굴입니다.

 

창고 대방출로 이제는 풀 수 있는 자료들 대방출 중입니다.

2016~2020년 사이 전공 기출 문제와 예상 문제들 공유합니다.

옛날 문제긴 하지만 전기 자체가 바뀌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참고 하셔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아래 내용 정도는 자다가 깨워도 대답할 수 있게 외우셨겠지만 한 번 더 외우세요 ㅎㅎ

밑으로 갈수록 문제만 있는데 그건 스터디원들 면접 질문 취합하느라 대충 적어놔서 그렇습니다

 

오늘도 도움이 되셨다면 유튜브 구경 한 번 더 해주시고 티스토리 구독해주세요 🫶🏻

*표피효과란?
도체(導體)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전류가 도체의 표면 부근만을 흐르는 현상.
이것은 도체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급속히 변화하기 때문에 유도기전력이 도체 내부에 발생하여,
도체의 중심부에 전류를 흐르기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. 이 현상 때문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
전류가 흐르지 않는 중심부를 도려낸 중공인 선이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가는 선을 서로 절연하여
몇 가닥을 꼰 선을 쓴다.

*페란티 현상이란?
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
-> 발생원인 :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선 충전 전류가 흘러서 발생 (선로정수의 정전용량 때문에)
-> 방지 대책 : 수전단에 분로 리액터 설치

*코로나 현상이란?
전선 표면의 전위 기울기가 30kV/cm가 되면 전선 표면의 공기가 이온화되며 코로나 방전이 되는 것
-> 발생 시 문제점 : 코로나 손실, 코로나 잡음, 고조파로 인한 유도장애, 전선부식
-> 대책 : 코로나 임계 전압을 대지 전압보다 높인다. (=전선직경을 늘린다)
직경이 큰 복도체나 중공연선, ACSR사용 한다.

*전기가 집으로 들어오는 과정은?
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승압하여 최초 변전소로 보내고 최초 변전소에서 점차 강압을 하여 수용가로 공급

*선로정수
송전선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정수로 R L C G가 있다

*변압기 손실의 종류
무부하손과 부하손이 있다
무부하손에는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 유전체손이 있고 부하손에는 동손과 표류 부하손이 있다.

*무부하손을 줄이기 위한 방안

*지중 전선로와 가공 전선로의 장단점
지중 전선로의 장점은 미관, 보안상 좋고
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며 감전사고가 줄어들고 유도장애가 작다
수용가 밀집지역에 유리하다
단점은 고장 발생 시 고장점 찾기가 어렵고 공사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이다.

가공 전선로의 장점은 유지 보수가 쉽고 저렴한 공사 비용이 있다.
단점은 미관상 좋지 않고,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며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.


*변압기의 원리는
변압기는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한다.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감긴 권선의 수의 비율로 승압과 강압을 함

*변압기의 종류는?

*전선의 구조는

*중성점 접지 이유
1. 이상전압 억제
2. 절연레벨 경감
3. 보호계전기 동작확보

*교류와 직류의 차이는
직류는 시간이 지나도 크기와 방향이 변하지 않고, 교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한다
교류는 주파수를 가지고 직류는 가지지 않는다.

*교류와 직류 차이와 송전 시 교류 전류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라
송전 시 교류 전류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압의 변성이 용이하고 회전자계를 얻기가 쉽다.
교류는 0이 되는 점이 있어 고장전류 차단이 용이하다.

*3상 4선식 배전방식을 설명하라
Y결선으로 연결 후 중성점에 중성선을 연결하여 배전하는 방식
2종류 (220v와 380v) 의 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기 공급 방식.

*이도가 무엇인가
이도란 전선이 늘어진 정도를 의미한다,
이도 공식은 T는 수평장력, w는 단위길이당 중량, S는 경간

*변전소에 가본 경험은? 변전소에 있는 설비 모두 말하라
변압기, 조상설비, 모선, 피뢰기, 중성점접지, 접지창치, 배전반, 서지흡수기, 소내설비, 원방감시제어 등 있다.

*키르히호프 법칙이란?
1. KCL : 임의의 한 노드에 흐르는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다.
2. KVL : 임의의 한 mesh에 걸리는 전압의 대수적 합은 0이다.

*중첩의 원리란?
선형 회로에서 입력이 A가 되는 경우 출력이 C, 입력이 B가 될 때 출력은 D가 되는 것과 같은
회로망에서 입력이 A+B이면 출력은 C+D가 될 수 있는 경우에 중첩의 원리가 성립된다.
*리액터의 종류와 기능

*역률 설명하라

*역률 개선하는 방법은?

*60Hz 를 50Hz 정격기기에 동작시킨다면 어떻게 되겠는가?

*가스절연변전소(GIS)

*풍력발전에 대해 설명하라

*시정상수 설명?

*피뢰기란? 설치장소도 얘기하라
피뢰기란 이상전압 내습 시 대지로 방전 및 속류를 차단하는 장치
설치 장소 : 발전소 변전소의 인·입구
고압/ 특 고압으로 수전하는 수용가의 인·입구
고압/ 특 고압으로 받는 배전용 변압기의 인·입구
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만나는 곳 (가공전선은 절연전선이라 반사효과로 더 큰 전류 흐를 수 있어서)

*인버터와 컨버터를 설명하라
인버터란 DC -> AC로 바꿔주는 것
컨버터란 DC -> DC 또는 AC -> DC

*단상과 3상의 차이는?
단상이란: 발전코일이 1개로 만들어진 전기
3상이란: 3개의 발전코일을 각각 120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1회전에 3개의 상을 동시에 만드는 방법

*변전소의 구성은?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라

*플레밍의 왼손법칙은?

*차단기의 종류는

*전압을 승압하는 이유

*전주에 설치된 통은 무슨 역할을 하나?

*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피상전력이란?

*쿨롱의 법칙과 유전율에 대해 설명하라

*개폐기와 차단기와 단로기에 대해 설명하라

*전동기의 원리는?

*복도체 스페이서란?

*변압기 내 절연물질은?

*와이 - 델타 공식

*낙뢰 방지 장치는?

*애자의 종류

*리액턴스와 임피던스

*변압기 탭 변환 원리는?

*무효전력과 전압, 유효전력과 주파수 관계

*단선과 지락의 차이

*단락전류와 지락전류 중 어떤 게 더 큰가

*와이결선의 상전압과 선간전압의 차이

*페란티 현상의 벡터도를 그려라

*전압과 절연비용 전압과 전선비의 관계를 말하라

*변압기 보호 장치

*변압기 결선

*보호계전기 동작원리와 CT포화가 무엇인가

*PT CT MOF 설명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