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료

한전 기업분석 자료 + 면접 기출 자료 공유 (옛날 자료 주의)

by 밍굴뒹굴 2025. 7. 29.
반응형


안녕하세요 밍굴뒹굴입니다.

오늘은 예전 자료를 한 번 풀어볼까 합니다.

 

도움이 되신다면 유튜브 구경 한 번 더 해주시고 티스토리 구독해주세요 🫶🏻

 

제가 취준할 때 선배들한테 받았던 자료라서 아주아주 오래된 자료지만, 사실 공기업 특성상 엄청 크게 변하지는 않았을 거 같고 이런 자료라도 없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으니 여러분에게 모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 

무더운 여름이지만, 지금 준비를 잘하면 하반기가 행복해지겠죠??

지칠수록 힘내서 같이 하반기 준비해봅시다!

 

한전기업분석2016.pdf
2.48MB

 

이건 2016년 한전 기업분석 자료인데 이 중에서 지금 실제로 발전한 미래 사업이 뭐가 있는지를 보면 한전이 추구하는 방향이 보이겠죠?

 

그리고 제가 한전 최종 면접에 많이 갔었는데 그 중에 3차 전공면접 관련해서 정리했던 내용이 있는데 한글이라 다 깨졌어요...ㅋㅋ

겨우 한글 구해서 복원하긴 했는데 호환이 잘 안될 것 같아 그냥 본문으로 공유드립니다.

 

정리한 거 복붙한거라 틀린 부분 있을 수 있는데 그건 알아서 수정하세요..ㅎㅎ

🔽3차 전공면접 질문 & 답변

교류송전 방식의 장점 - 전압의 승압, 강압이 용이하다
-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다.
- 일관된 운용을 할 수 있다.

직류송전 방식의 장점 - 절연레벨을 낮출 수 있다.
-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어 안정도가 높다
- 유전체손과 무효전력이 없어 손실이 없다
- 표피효과나 근접효과가 없어 실효 저항의 증대가 없다
- 주파수가 다른 교류 계통과 연계가 가능하다
- 코로나 손실이 적고 충전전류가 없다

단점 - 직 교류 변환 장치가 필요하다
- 전압의 승, 강압이 안 된다.
- 고주파나 고조파 억제대책이 필요하다
- 직류 차단이 어렵다.

회전자계 : 3개의 코일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해서 3상 교류를 흘리면 정해진 방향에 일정 세기와 속도로 회전하고, 자석이 회전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. 이와 같은 자계를
회전자계라고 한다.

절연레벨 : 전기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일정 부분의 전압이 발생하게 됩니다. 그러한 경우 이것이 적절한 전기적으로 압력이 주어지고 이것이 전압의 범위를 가지는 허용범위가 생기게
됩니다. 이것이 절연레벨이라고 합니다.

유전체손 : 교류를 흘렸을 때 유전체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

무효 전력 : 리액턴스를 포함하는 부하에 교류 전압을 가했을 경우 어떤 일을 하지 않는 전기
에너지가 전원과 부하 사이를 끊임없이 왕복한다. 그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

표피효과 :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전류가 도체의 표면 부근만을 흐르는 현상.
이것은 도체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급속히 변화하기 때문에 유도기전력이 도체 내부에
발생하여, 도체의 중심부에 전류를 흐르기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.

근접 효과 : 전력 케이블과 같은 복수 도체에서 전류력 때문에 도체 단면의 전류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. 상용 주파수에서 도체 단면적이 250㎡ 이하의 경우는 이에 의한 실효 저항
의 증가는 그다지 영향 받지 않는다. 또 고주파가 될수록 근접 효과는 크다.

코로나 방전 : 전계가 균일성을 잃어 전위의 경도가 큰 주변에 전리가 강하게 일어나는 결과
여기에 전류가 집중하여 공간 전하 효과를 증가하여 그 부분만이 발광하는 현상


코로나 손실 :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력 손실. 전선 표면의 전위 기울기가 대체로 30㎸/㎝가 되면
전선 표면의 공기가 이온화되어 코로나 방전이 되고, 송전 전력이 소리, 빛, 열 등으로 변환되어 전력 손실을 일으킨다.

 

 

이건 18년도 전공 질문 모음이고 19년도 것도 찾아서 취합해서 돌아오겠습니다...아디오스

반응형

댓글